Daily Front_Minhhk

Session 본문

Code개발일지

Session

Minhhk 2023. 1. 7. 20:54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유일하고 암호화된 아이디 부여.

사용자가 인증에 성공한 상태를 세션이라고 한다.

중요 데이터는 서버에서 관리한다.

xss공격에 취약하다.

쿠키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세션이 만들어지면 세션 아이디가 만들어진다.

웹사이트에서는 로그인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쿠키를 사용하고, 쿠키에는 서버에서 발급한 세션 아이디를 저장해놓는다.

로그아웃을 하려면 서버에서는 세션 정보를 삭제하고, 클라이언트는 쿠키를 갱신해야한다.

로그인을 통해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그 후 인증된 사용자가 어떤 식으로 웹사이트를 이용하는지 간단하게 알아봅시다.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이용해서 로그인을 시도하면(그림에서 1번), 과연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사용자가 만일 정확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했다면, 서버는 인증(Authentication)에 성공했다고 판단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다음번에 인증을 필요로 하는 작업(e.g. 그림에서와 같이, 장바구니에 물품 추가)을 요청할 경우에 한번 더 로그인 과정을 거쳐야 할까요?

아닙니다. 서버가 "해당 유저는 인증에 성공했음"을 알고 있다면, 유저가 매번 로그인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인증에 따라 리소스의 접근 권한(Authorization)이 달라집니다.

이때 서버와 클라이언트에 각각 필요한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서버: 사용자가 인증에 성공했음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 클라이언트: 인증 성공을 증명할 수단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 사용자가 인증에 성공한 상태는 세션이라고 부릅니다.
    • 서버는 일종의 저장소에 세션을 저장합니다. (그림에서 2번) 주로 in-memory(자바스크립트 객체를 생각하면 됩니다), 또는 세션 스토어(redis 등과 같은 트랜잭션이 빠른 DB)에 저장합니다.
  • 세션이 만들어지면, 각 세션을 구분할 수 있는 세션 아이디도 만들어지는데(그림에서 3번), 보통 클라이언트에 세션 성공을 증명할 수단으로써 세션 아이디를 전달합니다. (그림에서 4번)

이때 웹사이트에서 로그인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쿠키를 사용합니다.

쿠키에는 서버에서 발급한 세션 아이디를 저장합니다.

쿠키를 통해 유효한 세션 아이디가 서버에 전달되고, (그림에서 5번) 세션 스토어에 해당 세션이 존재한다면 (그림에서 6번) 서버는 해당 요청에 접근 가능하다고 판단합니다. (그림에서 7,8번)

하지만 쿠키에 세션 아이디 정보가 없는 경우, 서버는 해당 요청이 인증되지 않았음을 알려줍니다.

 

 

 

로그아웃

세션 아이디가 담긴 쿠키는 클라이언트에 저장되어 있으며, 서버는 세션을 저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서버는 그저 세션 아이디로만 인증 여부를 판단합니다.

주의: 쿠키는 세션 아이디, 즉 인증 성공에 대한 증명을 갖고 있으므로, 탈취될 경우 서버는 해당 요청이 인증된 사용자의 요청이라고 판단합니다. 이것이, 우리가 공공 PC에서 로그아웃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로그아웃은 다음 두 가지 작업을 해야 합니다.

  • 서버: 세션 정보를 삭제해야 합니다.
  • 클라이언트: 쿠키를 갱신해야 합니다.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쿠키를 임의로 삭제할 수 없습니다.

대신, set-cookie로 클라이언트에게 쿠키를 전송할 때 세션 아이디의 키값을 무효한 값으로 갱신할 수 있습니다.

 

express-session

Node.js에는 이런 세션을 대신 관리해 주는 express-session 이라는 모듈이 존재합니다.

아래 설명을 참고하여 모듈의 역할 및 사용법을 알아봅시다.

express-session은 세션을 위한 미들웨어로, express 서버에서 쉽게 세션을 위한 공간을 다룰 수 있도록 만들어줍니다.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session = require('express-session');

const app = express();

app.use(
  session({
    secret: '@codestates',
    resave: false,
    saveUninitialized: true,
    cookie: {
      domain: 'localhost',
      path: '/',
      maxAge: 24 * 6 * 60 * 10000,
      sameSite: 'none',
      httpOnly: false,
      secure: true,
    },
  })
);

express-session를 사용해 위와 같이 세션의 옵션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언뜻 보면 쿠키 옵션과 비슷해 보입니다.

 

하지만 세션의 경우 secret 옵션의 비밀키를 이용해 암호화해 세션 id라는 것을 생성합니다.

그리고 이것을 클라이언트에게 쿠키로 전송합니다.

 

쿠키로 전송된 세션 id는 이에 종속되는 고유한 세션 객체를 가지며 이는 서버에 저장됩니다.

이때 세션 객체는 유저별로 독립적으로 생성된 객체이므로 유저별로 각각 다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에 유저의 개인정보를 담지않고도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세션 id를 이용해 유저의 인증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세션 객체는 req.session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앞서 말했듯 이를 통해 세션에 임의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불러올 수 있습니다.

 

 

GitHub - expressjs/session: Simple session middleware for Express

Simple session middleware for Express. Contribute to expressjs/session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Code개발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ken,, sprint-auth-token  (0) 2023.01.07
[session] sprint-auth-session  (0) 2023.01.07
[cookie] sprint-auth-cookie  (0) 2023.01.07
Cookie  (0) 2023.01.07
HTTP/HTTPS  (0) 2023.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