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개발일지
[JS] 객체
Minhhk
2022. 11. 4. 21:31
객체,,Object
- 다양한 정보를 담고자 할 때가 객체의 대표 예시가 된다.
let user = {
firstName: 'steve' ,
lastName: 'kim' ,
email: 'steve@naver.com' ,
city: 'busan'
};
- 중괄호(curly bracket)로 시작한다⇒ 키와 값 사이는 ‘ : ’ 콜론으로 구분 한다.
- ⇒ 키+값 은 ‘ , ’ 컴마로 구분한다.
- 여기서 첫줄을 보면 ‘cha’라는 값을 firstName이라는 키에 할당한다고 한다.
- 객체의 값을 사용하는법
- Dot notation⇒ user.city; // kim
- ⇒ user.firstName; // steve
- Bracket notation⇒ user[’city’]; // busan
- ⇒ user[’firstName’] ; // steve
- 객체에 값을 추가하는 법⇒ user.isPublic = true;
- ⇒ user.tags = [’#하이하이’ , ’#프리프리’];
- ⇒ user[’category’] = ‘하하’;
- 객체에 값 삭제 하는 법
- ⇒ delete user.firstName;
- 객체에 값을 확인 하는 법⇒ ‘secondName’ in user; // false
- ⇒ ‘LastName’ in user; // true
객체 속성 개수 구하기
const obj = {
product : 'book',
id : 123,
page : 23
};
const count = Object.keys(obj).length;
console.log(count) // 3
const count = Object.keys(obj).length;
객체의 속성 개수를 구하기 위해서
먼저 Object.keys() 함수를 이용해서
객체가 가지고 있는 key값들을 배열로 리턴
Object.keys() 함수는 파라미터로 입력받은 객체의 key 목록을 배열로 리턴
위 코드에서 Object.keys(obj)는 "['product', 'id', 'page']"를 리턴
그리고, 그 배열의 길이를 length 속성을 사용해서 가져오면,
그 값이 결국 객체의 속성 개수가 된다.
확실히 코플릿 문제를 풀면서,, 내가 객체에 더 빈약하다는 것을 깨닳았다...
주말에 다시 보충해서 올리겠다😿